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는 1916년 스타라자고라에서 축구 클럽으로 시작하여, 1924년 보리슬라프와 레코르드의 합병을 통해 베로야로 창단되었다. 불가리아의 정치적 변화 속에서 여러 차례 클럽명 변경과 합병을 거쳤지만, 스타라자고라 지역을 대표하는 팀으로 자리 잡았다. 1986년 불가리아 리그 우승, 2009-10, 2012-13 시즌 불가리아 컵 우승, 2013년 불가리아 슈퍼컵 우승을 기록했다. 발칸 컵에서 4회 우승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 대항전에도 여러 차례 참가했다. 2023년에는 미국 에이전시 CRD Sport가 클럽 지분 100%를 인수했다.
1916년 스타라자고라에서 축구가 시작되었지만, 당시에는 전국 리그가 없어 많은 클럽들이 지역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1924년 5월 4일, 보리슬라프와 레코르드가 합병하여 베로야가 창단되었다. 불가리아의 정치 체제 변화로 인해 수십 년 동안 합병과 클럽명 개칭이 반복되었지만, 항상 스타라자고라의 상위 3개 클럽에 속했다. 1957년, 클럽은 보테프로 개칭되었다. 1959년, 보테프는 로코모티프와 합병하여 '''베로에'''가 탄생했다.[10][11]
베로에 경기장은 스타라 자고라 북서부, 도시에서 가장 큰 공원인 아야즈모토 근처에 위치한 팀의 가장 큰 스포츠 시설이다. 1959년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개조 공사 중이다. 약 13,000석의 좌석이 있으며, 대부분 덮여 있다. 경기장에는 체조, 곡예, 권투 경기장과 탁구 시설도 있다. 전체 수용 인원은 약 15,000명이다. 베로에 경기장은 빠른 육상 트랙을 갖추고 있어 육상 경기에 자주 사용되었다. 1986년 팀이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을 때 40,000명 이상의 관중이 모여 선수들과 함께 축하했다. 팀은 베로에 경기장 기지에 있는 3개의 훈련장, 테니스 시설, 실내 훈련장도 보유하고 있다.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는 국내에서 매우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서포터 그룹은 자라 보이즈(Zara Boys)라고 불린다.
2024년 3월 3일 갱신[13]
2. 역사
1984년, 발칸 컵에서 4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1961년부터 1994년까지 28회 개최된 발칸 컵의 최다 우승 기록이다.[10]
1986년, 1985-86 시즌의 불가리아 A 풋볼 그룹에서 첫 우승을 달성했다.[10]
2010년, 2009-10 시즌의 불가리아컵에서 첫 우승을 달성했다.[10]
2013년, 불가리아 슈퍼컵에서 리그 우승팀인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에 승리했다.[12]
2. 1. 초기 역사 (1916년 ~ 1959년)
축구는 1916년 이른 시기부터 스타라자고라에서 행해졌지만, 1920년대 후반까지 불가리아에는 조직적인 선수권 대회가 없었기에, 이 초기에는 도시와 불가리아 자체에서 많은 클럽들이 지역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0][11] 베로에는 1924년 5월 4일에 두 개의 다른 클럽, 보리슬라프와 레코르드의 합병으로 베로야로 창단되면서 그 뿌리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0][11]
클럽은 불가리아의 수많은 정치 정권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 당시의 거의 끊임없는 혼란과 갈등을 견뎌냈고, 역사 초반 40년 동안 많은 합병과 이름 변경에도 불구하고 도시에서 항상 상위 3개 클럽 안에 들었다.[10][11] 또한 앞으로 몇 년 동안 도시에서 클럽의 역할과 의미를 예고하며, 스타라자고라의 모든 클럽을 통합하려는 시도의 플랫폼이 되기도 했다.
40년대 후반에 불가리아 챔피언을 결정하기 위한 조직적인 리그가 설립되면서 스타라자고라의 축구 통합과 일치했고, 마침내 불가리아 축구 최고 수준에서 도시를 대표하는 단일 강호 클럽이 등장했다. 그 클럽은 처음에는 우다르니크와 보테프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1959년에 옛 이름을 되찾은 베로에였다.[10][11]
2. 2. 통합과 발전 (1959년 ~ 1980년)
축구는 1916년 이른 시기부터 스타라자고라에서 행해졌지만, 1920년대 후반까지 불가리아에는 조직적인 선수권 대회가 없었기에, 이 초기에는 도시와 불가리아 자체에서 많은 클럽들이 지역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0][11] 1924년 5월 4일, 보리슬라프와 레코르드의 합병으로 베로야가 창단되었다. 클럽은 불가리아의 수많은 정치 정권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 당시의 거의 끊임없는 혼란과 갈등을 견뎌냈고, 역사 초반 40년 동안 많은 합병과 이름 변경에도 불구하고 도시에서 항상 상위 3개 클럽 안에 들었다.[10][11]
1940년대 후반 불가리아 챔피언을 결정하기 위한 조직적인 리그가 설립되면서 스타라자고라의 축구 통합과 일치했고, 마침내 불가리아 축구 최고 수준에서 도시를 대표하는 단일 강호 클럽이 등장했다. 그 클럽은 처음에는 우다르니크와 보테프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1959년에 옛 이름을 되찾은 베로에였다.
1968년은 베로에의 황금기의 시작을 알렸다. 여름 이적 시장에서 공격수 페트코 페트코프가 클럽에 합류했다. 이후 12년 동안 그는 A 그룹에서 클럽을 위해 144골을 넣었다. 베로에는 막강한 팀이 되어, 1968년(결승에서 스파르타크 소피아를 합계 6-4로 이김)과 1969년(디나모 티라나를 합계 4-0으로 이김)에 발칸 컵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1970년에는 레프스키와의 경기에서 관중 소란으로 인해 18라운드 후 챔피언십에서 제외되면서 팀은 강등되었다.
1년 만에 반등하여, 1971-72 시즌에 국내 리그에서 팀은 매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고 3위를 차지하여 UEFA컵 진출 자격을 얻었다. UEFA컵 첫 출전 또한 유망하여 베로에는 오스트리아의 오스트리아 빈(7-0, 3-1)과 헝가리의 혼베드(3-0, 0-1)를 각각 탈락시키고 3라운드에 진출했지만, 유고슬라비아의 OFK 베오그라드에 의해 탈락했다.
1973-74 시즌에 베로에는 컵 위너스 컵 8강에 진출했다. 룩셈부르크의 폴라 에슈와 아틀레틱 빌바오를 탈락시킨 후, 1. FC 마그데부르크에 의해 동독에서 멈춰졌다(2-0, 1-1).
베로에는 1979년 컵 위너스 컵 1차전에서 유벤투스를 1-0으로 이긴 것과 1973년 아틀레틱 빌바오를 3-0으로 이긴 것과 같은 유럽에서의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베로에는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긍정적인 전적을 가진 두 개의 불가리아 축구 클럽 중 하나이다.
2. 3. 전성기 (1980년 ~ 1995년)
1982년과 1984년에 베로에는 발칸컵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0] 이는 1961년부터 1994년까지 28회 개최된 발칸 컵의 최다 우승 기록이다.[10]
예브게니 얀초프스키 감독이 이끄는 팀은 1986년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불가리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10] 베로에는 43점(20승 4무 6패)으로 시즌을 마쳤다. 베로에는 1986–87 UEFA 유러피언 챔피언스컵에 출전하여 1차전에서 베로에 스타디움에서 1-1로 비기고 키이우에서 0-2로 패배하여 소련의 디나모 키예프에게 탈락했다.[1]
1990년대에는 점차 쇠퇴하여 베로에는 B 그룹으로 강등되었고 1994–95 시즌에는 12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2. 4. 위기와 재도약 (1995년 ~ 2008년)
불가리아에 민주주의가 도래하면서 불가리아는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베로에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러 시즌 동안 위기를 겪었지만, 베로에는 올림피크(테테벤)와의 합병을 통해 불가리아 축구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유지했다.[10]
1부 리그로 복귀한 처음 두 시즌 동안 베로에는 강등을 피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후반기에 좋은 성적을 거두어 잔류에 성공했다. 그러나 2001-02 시즌에는 다시 강등되었다.
2007년 가을, PFC 베로에 JSCo의 주요 주주인 니콜라이 바네프가 팀에 대한 재정 지원을 중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은 대부분의 경기에서 좋은 경기력을 보였다. 2008년 1월 10일, 주식 매각 계획이 실패하면서 선수 23명과 코치 3명이 구단과의 계약을 해지했다.
2008년 2월 3일, 베로에 원로 클럽과 전국 팬클럽은 변호사 다미안 게오르기에프의 도움을 받아 관련 회사를 통해 스타라 자고라 지방 법원에 구단 파산 절차를 신청했고, 베로에는 위기에서 벗어났다. 관리인 엘카 페트로바는 구단의 모든 자산과 부채를 새로 설립된 주식회사 PFC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 JSCo로 이전했다. 이 새로운 법인은 불가리아 축구 연합의 라이선스, 회원 자격 및 축구 팀 운영과 관련하여 PFC 베로에 JSCo를 승계했다.
2. 5. 새로운 시작 (2008년 ~ 현재)
2007-08 시즌, 베로에는 벨라시차 페트리치와 마레크 듀프니차 간의 경기 결과로 인해 A 그룹에서 강등되었다. 그러나 다음 시즌 B 그룹에서 1위를 차지하며 최상위 리그로 복귀했다. 당시 일리안 일리예프는 이미 2년 동안 클럽의 감독을 맡고 있었다. 이듬해 베로에는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최고의 시즌을 보내며, 불가리아 컵에서 주요 경쟁자들을 모두 꺾었다. 8강전에서 CSKA 소피아를 탈락시켰고, 결승전에서 2부 리그의 체르노모레츠 포모리에를 1-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전은 로베치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결승골은 추가 시간 마지막 순간에 베로에의 전 유소년 선수 돈초 아타나소프가 넣었다. 베로에는 득점 없이 컵을 우승한 유일한 두 불가리아 팀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성공으로 일리안 일리예프는 올해의 코치 상을 수상했으며, 이보 이바노프 (수비수)는 2009년 A 그룹 최고의 수비수로 선정되었다. 코스타딘 비돌로프는 시즌 중반에 베로에에서 선수 경력을 마감하고 베로에의 2군 팀 코치가 되었다.
베로에는 2010-11 시즌을 UEFA 유로파 리그에서 팀의 데뷔와 함께 시작했다. 베로에는 3차 예선 라운드에 진출하여 오스트리아 팀인 라피트 빈과 맞붙었으나, 불가리아에서 열린 경기는 1-1 무승부, 재경기에서 3-0으로 패배하며 국제 대회 여정을 마감했다.
2012-13 시즌, 베로에는 불가리아 컵 2라운드에서 아카데믹 스비슈토프를 탈락시켰다. 8강전에서는 로코모티프 (메즈드라), 피린 (고체 델체프), 준결승전에서는 슬라비아 소피아를 탈락시켰다. 로베치 스타디움에서 레프스키 소피아와의 결승전에서 90분 후 3-3으로 비긴후,승부차기에서 레프스키 소피아는 4번의 페널티킥 중 1번만 성공했고, 베로에는 5번 중 3번을 성공시켜 베로에가 클럽 역사상 두 번째로 컵을 우승하게 되었다.
2013년, 불가리아 슈퍼컵에서 리그 우승팀인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에 승리했다.[12]
2023년 여름, 미국의 선수 에이전시 CRD Sport는 불가리아 최상위 리그 클럽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의 새로운 소유주가 되어 클럽 지분 100%를 인수했다.[5] 이는 클럽의 수년간의 재정 문제 이후에 이루어졌다.[5] 아르헨티나 출신 구스타보 아라고라자(Gustavo Aragolaza)는 2023-24 시즌의 새로운 감독으로 발표되었다.[5]
3. 경기장
4. 라이벌
베로에의 주요 라이벌은 보테프 플로브디프이며, 두 팀 간의 경기는 트라키안 더비라고 불린다. 또한 레프스키 소피아와 CSKA 소피아와도 강한 경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베로에는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와 네프토치믹 부르가스와도 좋지 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자라 보이즈 팬들은 에타르 벨리코 터르노보와 강한 우정을 나누고 있다.
5. 선수단
참고: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따라 선수의 국적을 표시한다.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border-collapse: collapse;"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vertical-align: top; width: 48%;"|등번호 포지션 선수명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vertical-align:top;"|등번호 포지션 선수명
|}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2월 10일 기준)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의 현재 선수 명단은 2024년 12월 10일 기준이다.[13]
등번호 | 포지션 | 선수명 |
---|---|---|
1 | GK | 아르투르 모타/Arthur Mottapt |
2 | DF | 오이에르 사리에기/Oier Sarriegies |
3 | DF | 후안 파블로 살로모니/Juan Pablo Salomonies |
4 | DF | 프랑코 라모스 밍고 (주장) |
5 | DF | 루시아노 스콰드로네/Luciano Squadronees |
6 | DF | 펠리페 차카르테기 |
7 | FW | 프란시스코 사가르디아/Francisco Sagardiaes |
8 | MF | 세군도 파차메/Segundo Pachamées |
9 | FW | 산티아고 고도이 |
10 | MF | 프란시스코 폴리타노/Francisco Politanoes |
11 | MF | 이스마엘 페레르/Ismael Ferreres |
12 | MF | 비니시우스 벨로티/Vinicius Belottipt |
14 | DF | 빅토리오 발코프/Viktorio Valkovbg |
15 | DF | 엔조 에스피노자/Enzo Espinozaes |
16 | DF | 스타니슬라프 요프코프/Stanislav Yovkovbg |
17 | FW | 후안카 피네다 |
18 | MF | 스틸랸 루시노프/Stilyan Rusinovbg |
19 | MF | 카를로스 알가라/Carlos Algarraes |
20 | MF | 마누엘 몬제글리오 (나시오날에서 임대) |
21 | FW | 알베르토 살리도/Alberto Salidoes |
23 | MF | 케빈 세이야스/Kevin Ceijases |
24 | MF | 스테판 가브릴로프/Stefan Gavrilovbg |
32 | MF | 티아고 세이야스/Thiago Ceijases |
96 | GK | 후벵 렌데루/Rúben Rendeiropt |
최근 이적에 관해서는 2023-24 겨울 이적, 2024 여름 이적을 참고할 수 있다.
5. 2. 임대 선수
wikitext현재 임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웨리크 카에타누는 SHB 다낭으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되었다.
5. 3. 역대 주요 선수
- 페탈 제코프 (1963-1968)
- 흐리스토 야네프 (1999-2000)
- 조앙 프란시스쿠 데 사리스 (2012)
- 사비오 누세레코 (2015)
- 가토 고헤이 (2016-2018)
분류: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의 축구 선수에 더 많은 선수 정보가 있다.
불가리아 1부 리그에서는 최대 20명의 외국인 선수를 1군에 등록하고 등번호를 부여할 수 있지만, 경기 당일에는 5명까지만 비EU 국적 선수를 기용할 수 있다. 유럽 혈통의 비EU 국적 선수는 조상의 출신 국가의 시민권을 주장할 수 있다. 유럽 혈통이 없는 선수는 불가리아에서 5년간 선수 생활을 한 후 불가리아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다.
'''EU 국적 선수'''
- 루벤 렌데이로
- 펠리페 차카르테기
- 오이에르 사리에기
- 카를로스 알가라
- 이스마엘 페레르
- 알베르토 살리도
'''EU 국적 선수 (복수 국적)'''
- 프랑코 라모스 밍고
- 루치아노 스콰드로네
- 프란시스코 폴리티노
- 엔조 에스피노사
- 후안 살로모니
- 케빈 세이하스
- 티아고 세이하스
- 세군도 파차메
- 아르투르 모타
- 비니시우스 벨로티
- 프란시스코 사가르디아
- 마누엘 몬제글리오
- 후안카 피네다
'''비EU 국적 선수'''
- 산티아고 고도이
- 후안카 피네다(도미니카 공화국)
6. 우승 기록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불가리아 컵 |
---|---|---|---|---|---|---|---|---|---|---|
2009-10 | A 그룹 | 10위 | 30 | 10 | 8 | 12 | 30 | 36 | 38 | 우승 |
2012-13 | A 그룹 | 7위 | 30 | 13 | 6 | 11 | 36 | 38 | 45 | 우승 |
6. 1. 국내 대회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는 1부 리그에서 1회 (1985-86) 우승했다. 불가리아 컵에서는 2회 (2009–10, 2012–13)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불가리아 슈퍼컵 우승은 1회 (2013)이다. 2부 리그에서는 최다인 9회 (1953, 1956, 1957, 1959–60, 1970–71, 1974–75, 1982–83, 2003–04, 2008–09) 우승했다.6. 2. 국제 대회
유러피언 컵/UEFA 챔피언스 리그 32강에 1986-87 시즌에 진출하였다. UEFA컵/UEFA 유로파 리그 16강에 1972-73 시즌, 32강에 1980–81 시즌에 진출하였다. 컵 위너스컵 8강에 1973–74 시즌, 16강에 1979–80 시즌에 진출하였다. 발칸 컵에서 4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우승 시즌은 1967–68, 1969, 1981–83, 1983–84이다.7. 유럽 대항전 기록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는 발칸 컵에서 1968년, 1969년, 1970년, 1981-83년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1972-73 시즌 UEFA컵 8강에 진출하여 유고슬라비아의 OFK 베오그라드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73-74 시즌 UEFA 컵 위너스컵 8강에 진출하여 동독의 1. FC 마그데부르크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79-80 시즌 UEFA 컵 위너스컵 16강에서 이탈리아의 유벤투스에게 연장전 끝에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80-81 시즌 UEFA컵 16강에서 유고슬라비아의 라드니키 니시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86-87 시즌 유러피언 컵 32강에서 소련 (현 우크라이나)의 디나모 키예프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베로에 스타라자고라의 UEFA 챔피언스리그/유러피언 컵,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UEFA 컵 위너스컵, 발칸 컵을 포함한 통산 유럽 대항전 성적은 16시즌 68경기 34승 12무 22패, 105득점 79실점이다.
대회 | 시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UEFA 챔피언스리그 / 유러피언 컵 | 1 | 2 | 0 | 1 | 1 | 1 | 3 | – 2 |
UEFA 유로파 리그 / UEFA컵 | 6 | 22 | 8 | 6 | 8 | 30 | 23 | + 7 |
UEFA 컵 위너스컵 / 컵 위너스컵 | 2 | 10 | 5 | 1 | 4 | 20 | 11 | + 9 |
발칸 컵 | 7 | 34 | 21 | 4 | 9 | 54 | 42 | + 12 |
총계 | 16 | 68 | 34 | 12 | 22 | 105 | 79 | + 26 |
7. 1. 주요 유럽 대항전 성적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는 발칸 컵에서 1968년, 1969년, 1970년, 1981-83년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1972-73 시즌 UEFA컵 8강에 진출하여 유고슬라비아의 OFK 베오그라드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73-74 시즌 UEFA 컵 위너스컵 8강에 진출하여 동독의 1. FC 마그데부르크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79-80 시즌 UEFA 컵 위너스컵 16강에서 이탈리아의 유벤투스에게 연장전 끝에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80-81 시즌 UEFA컵 16강에서 유고슬라비아의 라드니키 니시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 1986-87 시즌 유러피언 컵 32강에서 소련 (현 우크라이나)의 디나모 키예프에게 합계 1-3으로 패하였다.베로에 스타라자고라의 UEFA 챔피언스리그/유러피언 컵,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UEFA 컵 위너스컵, 발칸 컵을 포함한 통산 유럽 대항전 성적은 16시즌 68경기 34승 12무 22패, 105득점 79실점이다.
대회 | ||||||||
---|---|---|---|---|---|---|---|---|
UEFA 챔피언스리그 / 유러피언 컵 | 1 | 2 | 0 | 1 | 1 | 1 | 3 | – 2 |
UEFA 유로파 리그 / UEFA컵 | 6 | 22 | 8 | 6 | 8 | 30 | 23 | + 7 |
UEFA 컵 위너스컵 / 컵 위너스컵 | 2 | 10 | 5 | 1 | 4 | 20 | 11 | + 9 |
발칸 컵 | 7 | 34 | 21 | 4 | 9 | 54 | 42 | + 12 |
총계 | 16 | 68 | 34 | 12 | 22 | 105 | 79 | + 26 |
8. 클럽 경영진
직책 | 임원 |
---|---|
집행 이사 | 스텔리얀 팝체프 |
이사회 의장 | 젤랴즈코 디네프 |
이사회 이사 | 루미야나 아타나소바 |
9. 코칭 스태프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의 운영진에는 축구 디렉터 이프코 간체프[8]와 행정가 티호미르 테네프가 있다. 기술 스태프에는 수석 코치 니콜라이 키로프 (축구 감독)와 코치 보조 이반 코체프, 이반 젤레프, 골키퍼 코치 티호미르 토도로프, 피트니스 코치 아타나스 니콜로프가 포함된다. 의료진은 의사 니콜라이 보리소프, 재활 치료사 칼로얀 가네프, 하우스키퍼 베넬린 시브리예프로 구성되어 있다.[8]
역대 감독으로는 파나요트 타네프, 보리슬라프 아스파루호프, 보리슬라프 밀레노프, 이반라도예프, 아나스타스 코바체프, 마놀 마놀로프, 크룸 밀레프, 흐리스토 믈라데노프, 디미타르 그리고로프, 로잔 코체프, 이반 타네프, 게오르기 베르코프, 이반 마놀로프, 바실 이바노프, 이반 부토프, 게오르기 벨체프, 페트코 페트코프, 예브게니 얀초프스키, 파나요트 파나요토프, 보리스 안젤로프, 텐요 민체프, 드라골류브 베크발라츠, 벤칠라프 케포프, 츠베토미르 파르바노프, 일리아 일리예프, 베넬린 시브리에프, 아스파루흐 니코디모프, 한스 코드리치, 일리안 일리예프, 에두아르드 에라노시안, 라도슬라프 즈드라브코프, 니콜라이 데미레프, 이프코 간체프, 페타르 헙체프, 플라멘 리펜스키, 알렉산다르 디미트로프, 페라리오 스파소프 등이 있다.
10. 유소년 아카데미
11.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Dinamo Kyiv-Beroe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09-05-25
[2]
웹사이트
Beroe end final hoodoo
http://www.uefa.com/[...]
uefa.com
2010-05-05
[3]
웹사이트
Beroe's 24-year wait comes to an end
http://en.uefa.com/u[...]
uefa.com
2010-07-28
[4]
웹사이트
Jelavić double helps Rapid past Beroe
http://www.uefa.com/[...]
uefa.com
2010-08-03
[5]
웹사이트
US player agency CRD Sport buys Bulgaria’s Beroe promising €5, and Ronaldinho
https://www.insidewo[...]
Inside World Football
2023-06-20
[6]
웹사이트
UEFA Club Rankings
http://www.uefa.com/[...]
UEFA.com
2016-12-14
[7]
웹사이트
Club World Ranking
http://iffhs.de/club[...]
IFFHS.de
2016-01-07
[8]
웹사이트
Ивко Ганчев е новият спортен директор на "Берое"
https://www.beroe.bg[...]
beroe.bg
2021-09-15
[9]
웹사이트
Иван Цветанов е новият директор на ДЮШ
https://www.beroe.bg[...]
beroe.bg
2020-05-14
[10]
웹사이트
History
http://en.beroe.bg/c[...]
beroe.bg(英語版)
null
[11]
웹사이트
История (History)
http://www.beroe.bg/[...]
beroe.bg
null
[12]
웹사이트
Beroe break Bulgarian Super Cup duck
http://www.uefa.com/[...]
UEFA.com
2013-07-10
[13]
웹사이트
Първи отбор
https://beroe.bg/tea[...]
2023-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